반응형

https://youtube.com/@ucdmaster?si=CmQLj6tWIBaJPRC4

Binance

발달장애와 교육공학, 장애인권, 부모역량강화에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를 연구, 개발하고 강의합니다. (주)쌤스토리 대표이사 / 나사렛대학교 재활자립학부 겸임교수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300평이라는 농지가 어떤 넓이인지 감도 안 와서 네이버 지도 활용,,

내가 익숙한 장소를 서칭해봤다.

 

 

 

체감상 하우스가 노지보다 넓게 느껴진다. 같은 평수라도

4,433m2=1340평

341 = 103평

 

결론은 

300평은 꽤 크고,

하우스 100평 한 동도 크다.

 

350~400평 토지 구해서

100평 하우스 두 동에 노지 100평이면 딱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1. 신발 신발 아가씨

2. 밀리의 판타스틱 모자

반응형
반응형

 

졸업 위해 들어야 하는 과목 수 24

3*24 = 72

24/4=6

 

 

 

 

 

 

반응형
반응형

 

개념에는 본질이 있고, 그 본질에 맞는 이름은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역사회 관계 차원

지역사회 주민조직 단체와 네트워킹을 해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권력을 가지고자 하는 사람이 개념을 소유합니다.
소셜이나 케어라는 단어는 소유할 수 없는 단어입니다.
아이들의 고민이나 아픔이 '우울', '불안'으로 환원되면서 진정한 아픔이 사라지는 것처럼 말입니다.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고용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등의 목적으로 활동하는 것들이 사회적 농업이란 생각이 듭니다.

자폐장애인과 제가 다른 게 뭐냐 물었을 때, "살아가며 사회적으로 문제를 느끼느냐의 차이"라고 하셨습니다. 어느 정도의 차이만 존재하지, 문제는 모두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좀 놀랐습니다.

지역사회 농업, 마을에서의 농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개정 치유농업법·농촌진흥법 2일 공포
4월3일 시행하는 개정 농촌진흥법 
농민 조직 육성 주체 지자체장으로 확대
이달 2일 시행한 개정 치유농업법
‘사회복지사업과 연계 치유농업’에 법적 근거 부여
치유농업 활동 모습. 농촌진흥청

 4월3일부터 ‘농업인 조직’ 육성 주체가 기존 농촌진흥청장에서 지방자치단체장으로 확대된다. 

이달 2일부터는 저소득층이나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법적 근거가 부여됐다. 

농진청은 ‘농촌진흥법’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치유농업법)’ 일부개정법률이 이달 2일 공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가운데 개정 농촌진흥법은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 3개월 후인 4월3일 시행된다. 

개정법은 ‘농업인 조직’ 육성 주체를 기존 농진청장에서 지자체장으로 확대했다. 또 지방연구직·지도직 공무원에 대한 교육훈련을 농진청 소속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에 위탁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지자체 연구직·지도직 공무원 역량이 높아지는 한편, 농업인 조직 육성에 대한 지자체 관심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치유농업법은 법적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취지로 개정됐다. 

2일 공포와 동시에 시행된 개정 치유농업법은  ‘치유농업을 활용한 사회복지사업 추진 사항’을 치유농업 종합계획에 반영하도록 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관련 자료와 의견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도 함께 담았다. 

농진청이 보건복지부·교육부 등의 사회복지사업과 연계해 시행해온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법적 근거가 없었다. 사업 추진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이유다. 

하지만 법 개정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치유농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진청은 2009년 시작한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코피아)으로 K-농업기술을 필요로 하는 개발도상국과 함께 현지에 맞는 농업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한편 개정 농촌진흥청법 중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코피아) 관련 부분은 올 7월3일 시행된다. 

코피아는 농진청이 2009년부터 주관해온 사업으로 개도국에 맞춤형 농업기술을 지원하고, 해당 국가의 자원을 공동개발함으로써 협력 대상국의 농업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농진청은 현재 전 세계 22개국에서 해당 사업을 벌이거나 코피아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이와 관련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개정 농촌진흥청법엔 코피아와 코피아 센터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해당 사업을 더욱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호 농진청 기획조정관은 “이번 법령개정을 통해 농촌진흥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면서 “농업·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 농지현황

 

https://www.gri.re.kr/web/contents/ggmap.do?schM=view&id=33428

 

지도로 보는 경기도>이슈분석>경기연구원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관리부서 공간주거연구실 담당자 정효진 전화번호 031-250-3123 Email 이메일 주소 팝업 열기

www.gri.re.kr

 

경기도 농지관리실태 및 개선방안

 

 

농지면적

 

농업진흥지역 감소추세

대규모 농업진흥지역 해제

무분별한 농지전용

 

 

 

농지

- 농업진흥지역(일부 비농지 포함 가능) //절대농지(필지별로 지정)

 - 농업진흥구역

 - 농업보호구역

 

- 농업진흥지역 밖 농지 // 상대농지

 

 

농업진흥구역

농업보호구역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