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 지원 사업이란?

경기도내 미취업 청년에게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및 수강료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도 청년들에게 고른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취업 준비 비용을 지원합니다.

 

https://apply.jobaba.net/special/GGtestfees/bsnsCertInfo.do?bsnsSeq=3241&bsnsSeqUp=3215

 

https://apply.jobaba.net/special/GGtestfees/bsnsCertInfo.do?bsnsSeq=3241&bsnsSeqUp=3215

 

apply.jobaba.net

 

 

전국 모든 대중교통 다!The 경기패스경기도민을 위한 대중교통 무제한 환급

The 경기패스는 K-패스에 경기도의 혜택을 더한 카드입니다.
반드시 5월 1일 부터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 회원가입을 하셔야 하며,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6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회원 전환을 완료해 주세요.

 

https://www.gg.go.kr/bbs/boardView.do?bIdx=119939976&bsIdx=464&bcIdx=520&menuId=1536&isManager=true&isCharge=true&page=1

 

전국 모든 대중교통 다! The 경기패스 | 더 많은 기회 | 경기도는 오늘 | 뉴스 | 경기도청 - 변화의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도의 주요뉴스, 도민참여, 행정 서비스 안내

www.gg.go.kr

 

 

 

+ 논외

의미 있는 봉사활동

 

멘토-멘티 함께서기 사업

 

http://www.ggjarip.or.kr/community_01_02.html?actobj=notice012&acttype=VIEWINFO&bbs_code=notice012&bbs_key=79759671866861_6604f2aa0aa40

 

경기도자립지원전담기관

우리 아이들이 혼자서도 일어설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되겠습니다.

www.ggjarip.or.kr

 

반응형
반응형

https://www.nongmin.com/article/20240108500672

 

2024 농산업계, 인공지능 육성·이상기후 대응 ‘화두’

올해 농산업계를 관통할 키워드는 ‘인공지능(AI)’과 ‘이상기후 대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주요 농산업계 2024년 신년사와 중점 사업추진 계획을 분석한 결과 AI를 토대로 한 수출 확

www.nongmin.com

2024년 농산업계 키워드 
농기계 업계 AI 고도화 팔걷어 
자율운반 로봇 등 선보일 예정 
약제 저항성 농약 개발에 주력
대동이 추진하는 스마트 농기계 기술 중 하나인 ‘원격제어’를 구현한 모습.
이를 활용해 원격으로 농기계의 위치를 파악하며 시동을 켜고 끄거나 농기계 상태, 작업 내용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농산업계를 관통할 키워드는 ‘인공지능(AI)’과 ‘이상기후 대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주요 농산업계 2024년 신년사와 중점 사업추진 계획을 분석한 결과 AI를 토대로 한 수출 확대, 이상기후에 대응한 신제품 개발 등이 화두가 될 것으로 파악된다.

AI 기술 고도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는 곳은 농기계 업계다.

대동(회장 김준식)은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팜 ▲로보틱스 ▲농업·조경용 장비(GME·Grounds Maintenance Equipment)를 미래 성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준식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미래사업 핵심 요소로 ‘데이터 AI 로봇’을 꼽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회장은 “올해 ‘로봇모어’, 자율운반 추종 로봇 등의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로봇사업을 지속해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문 기관과 전방위적 협력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올해 선보이는 AI 자율주행 로봇이 시장에서 인정받아 대동이 로봇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로봇모어는 AI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해 정해진 구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제초 로봇이다.

 

 

TYM도 자율주행과 텔레매틱스 기술력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TYM 관계자는 “올 상반기 자율주행 농기계를 본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며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고도화한 자율주행·텔레매틱스·사물인터넷(IoT)·AI 기술 등을 확보해 ‘글로벌 농업 토털 솔루션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근 농업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이상기후도 올해 중요 의제로 꼽혔다. 고온 현상은 폭염·홍수·가뭄 등 자연재해를 유발하고 이는 병해충 발생 빈도를 높이는 주요 원인이다. 작물보호제 업계는 올해도 병해충 약제 저항성을 극복할 상품 개발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경농은 “여름철 강우량이 늘면서 병해충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이는 약제 사용량과 저항성 증가로 이어진다”면서 “농약업계에서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제품을 올해 계속해서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팜한농은 올해도 북남미 선진 시장을 지속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작물보호제 시장이지만 기존 농약의 약효가 떨어지거나 저항성 잡초를 방제할 제품이 없는 사례도 있어 해당 시장을 충분히 파고들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팜한농은 지난해 자사 제초제 ‘테라도’를 브라질에 수출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북남미 시장에 수출을 지속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비료 업계에서도 이상기후 현상을 기회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누보는 김창균·이경원 공동 대표이사 명의의 신년사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새로운 농업정책, 시장 변화 등 다양한 어려움이 닥칠 것”이라면서 “새로운 미래형 농자재 도입을 통해 극복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하늘·조영창 기자 sky@nongmin.com

반응형
반응형

mediahub.seoul.go.kr/archives/1295992?utm_medium=email&utm_source=npcrm&utm_campaign=mediahub&utm_content=npcrm_content&utm_term=npcrm_mail

 

‘제로배달 유니온’ 사용법…서울사랑상품권 할인 쏠쏠~

#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배달주문도 한다고? 제로배달 유니온 사용설명서 # 배달 주문은 할인받고 중개 수수료는 낮아지고!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를 위한 주문배달 서비스 ‘제로배달 유니온’

mediahub.seoul.go.kr

 

반응형
반응형

 

9/24~27

온라인

 

 

 

서울도시농업박람회

제9회 서울도시농업박람회 2020년 9월 24일 ~ 27일, 중랑구 용마폭포공원 일대, 전시 및 체험

www.agro-cityseoul.co.kr

 

랜선체험학교

키트 수령

생방송으로 함께 만들기

리뷰

상품권 증정

반응형
반응형

https://www.nongmin.com/nature/NAT/LVN/320522/view

 

한달이라 부담없네 꿀맛같은 농촌생활

‘농촌서 한달살기’ 안내서 휴식처·귀농귀촌 준비 손색없어 제주·전남·충남·강원 등지서 활발 워킹홀리데이·우프 프로그램 통해 단기 취업·봉사하며 머물 수도 공유숙박하면 여유만끽 가능 ‘한달살기’는

www.nongmin.com

‘농촌서 한달살기’ 안내서

휴식처·귀농귀촌 준비 손색없어 제주·전남·충남·강원 등지서 활발

워킹홀리데이·우프 프로그램 통해 단기 취업·봉사하며 머물 수도

공유숙박하면 여유만끽 가능
 


‘한달살기’는 특정 지역에서 한달 이상 장기 체류하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다. 기존의 삶을 모두 버려야 하는 부담이 없으면서 현지 주민이 된 느낌을 만끽할 수 있어 국내외로 한달살기를 위해 떠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우리 농촌이 한달살기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농·귀촌 준비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전국 성인 1000명 중 74.9%가 농촌에서 장기 체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목적은 다양하다. 응답자 중 51.3%는 생활관광형을 선호했으며, 25.9%는 치유요양형, 13.9%는 귀농·귀촌 준비형을 택했다. 농촌에서 한번 살아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자체 운영 프로그램 다양

체계적으로 농촌문화를 체험하고 싶다면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주관하는 체험형 프로그램을 활용해 볼 수 있다. 관광객은 물론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고자 여러 지자체가 앞다퉈 다양한 한달살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지자체 주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최대 두달간 농촌에서 생활하며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가격도 대체로 저렴하다. 프로그램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5만~10만원의 참가비에 식비·교통비 등만 내면 숙박비와 체험활동비 등은 무료다. 구글·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나 지자체 홈페이지에 ‘농촌 한달살기’나 ‘한달살기’를 검색하면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안내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활발히 운영 중인 프로그램으론 전남의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충남 서천 ‘삶기술학교 한달살기’ 등이 있다. 강원 강릉과 영월 등도 농촌 한달살기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달살기 비용이 부담된다면 농가에서 일하며 받는 일당으로 생활할 수도 있다. 농촌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가 대표적이다. 워킹홀리데이는 호주·캐나다 등 외국에서 일해 번 돈으로 생활하고 여행도 할 수 있는 제도인데 최근 우리 농촌에도 이 제도가 들어섰다.



일정기간 일하며 머무를 수 있어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은 영농조합법인이나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제주지역에서 가장 활성화돼 있다. 주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참가 신청할 수 있다. 지자체가 주관하는 워킹홀리데이도 있다. 서울시는 2018년에 ‘청년형 제주 워킹홀리데이’를 운영, 참가자들이 마을에 있는 게스트하우스에 머물며 농장에 단기 취업할 수 있게끔 한 바 있다.

‘우프(WWOOF)’ 프로그램도 눈여겨볼 만하다. 우프는 도시민이 농가에서 일정기간 자원봉사자로 활동하며 숙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2019년 기준 전국 63곳의 농가에서 우프를 운영했다.

금전적 여유가 있어 여유롭게 농촌을 경험하고 싶다면 공유숙박서비스를 이용해 농가에서 장기 투숙하는 방법도 있다. 세계적인 공유숙박서비스업체 에어비앤비가 국내에 정착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빈 농가에서 숙박하면서 자유롭게 농촌생활을 즐길 수 있다.

김민지 기자 vivid@nongmin.com

반응형
반응형

상주다움협동조합


기획,마케팅,미디어컨텐츠

 

경북 상주시 선발인원
3명
근무내용
-도농상생플랫폼 프로그램기획,홍보,운영 -공동체귀농지원센터의 교육,워크샵 기획홍보운영

상세근무내용
-도농상생플랫폼 프로그램기획,홍보,운영 -공동체귀농지원센터의 교육,워크샵 기획홍보운영 *지역 및 농업농촌의 다양한 자원조사 및 컨텐츠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농상생, 귀농귀촌,지역공동체 사업을 기획,홍보,운영하는 것이 업무의 내용입니다.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티브 능력, 디자인 능력, 커뮤니케이션능력, 트렌드를 읽어내는 청년의 감각은 도농상생 커뮤니티비즈니스를 만들어가는데 중요하며 청년들에게 적합한 부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필요조건
- 농촌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적응하려는 자세 실천력/기획력(문제해결,필요의 충족) 이를 위한 사람과 자연,사회에 대한 관심 / 팀원과 주민과 공감하고 협력하는 기술 / 기본적인 컴퓨터인터넷활용능력 / 지역자원을 컨텐츠화 하는 능력과 자세 /협동조합에 대한 이해

우대조건
- 농촌지역이라 차량운행이 가능한 분 우대 - 디자인홍보 능력자 우대 - 농촌지역에 정착 희망자 우대 - 사회적경제조직 활동 경험자 우대

기업소개 및 청년 인재 필요성
* 상주다움사회적협동조합 2009년 귀농귀촌과 순환과 공생의 지역사회 만들기를 사명으로

상주공동체귀농지원센터라는 비영리단체로 설립하여 지역사회와 함께 인재양성, 마을공동체육성,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사업을 벌여왔습니다.

 

2018년 10월 센터를 지역사회로 좀더 확장하고 도농상생사업과,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지역사회혁신플랫폼을 비전으로 하는

지역협력형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였음.

 

* 주다움 사회적협동조합은 상주시 면지역 폐교를 지역사회에서 임대하여 주민과 지역공동체의 참여와 운영을 통하여 만들어가고 있는 공유경제의 거점인 상주환경농업학교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의 다양한 활동과 사람들이 교류하고 소통하며 협력하는 공간이라 청년들이 지역을 알아가며 근무하기에 최적의 환경입니다.

 

또한 이 공간 거점이 그동안 상주에서 오랫동안 자발성에 기초하여 만들어 온 공동체활동의 역사와 성과가 축적된 곳이라는 역사성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근무하며 만나고 이용하는 다양한 환경들에 그런 역사와 공동체성이 담겨 있습니다.

근무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천봉서로 755

근무요일 및 시간
월~금 / 09:00~18:00
(주 32시간 기업 근로 + 주 8시간 사회공헌활동)

정규직 전환계획
근무기간 종료 후 심사 후 정규직 전환

복리후생
- 4대보험
- 월차

홈페이지 또는 온라인 채널
http://cafe.daum.net/sjrefarm 페이스북 상주다움사회적협동조합


▽▼▽▼기업에 직접 문의하기▼▽▼▽

http://bit.ly/경북_상주다움협동조합

 

청정지역프로젝트 Meetup : 네이버 카페

서울시-타지자체-민관협력이 함께하는 지역&청년 동반성장 프로젝트입니다.

cafe.naver.com

 

 

 

상주 외서마을 문화자립 사회적협동조합




상주다움 : 네이버 블로그

순환과 공생, 자치와 협동의 지역사회 플랫폼 [상주다움사회적협동조합]

blog.naver.com

 

 

[청정 인터뷰] 상주다움사회적협동조합 박은정 청년

안녕하세요! 청정경북 프로젝트 청정 인터뷰를 통해 경상북도 문경, 상주, 안동, 예천, 청송 5개 시/군에서...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https://africaff.modoo.at/?link=95i3s3ls

 

[아프리카미래재단 - 마다가스카르] 건강한 아프리카, 꿈꾸는 아프리카. 아프리카미래재단이 함께 합니다.

아프리카지역 보건의료⋅교육전문 NGO

africaff.modoo.at

 

반응형
반응형

https://urban.saramin.co.kr/apply_site/apply/list

 

한국토지주택공사 채용홈페이지입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채용홈페이지 이미지입니다.

urban.saramin.co.kr

https://www.city.go.kr/portal/notice/notice/view.do?nttId=5541

불러오는 중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