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리는

백색, 갈색, 녹색이 재활용 가능

그 외 알록달록한 유리는 피하기

 

뚜껑을 덮어서 배출하면 선별업체에서 선별함

뚜껑 따로 배출하면 재활용이 어려움

 

소다석회재질 유리만 분리배출 가능

내열유리, 크리스탈을 종량제 쓰레기로 !

 

 

+ 종이

 

종이팩, 멸균팩 등은 폐지와 함께 버리면 재활용 불가.

차라리 재활용 봉투에 같이 버리기 ( 주택 배출의 경우 )

따로 수집하는 업체에 가져가면 굿 ! ex. 알맹상점 등 제로웨이스트샵

 

+ 플라스틱

 

배달용기에 빨간 국물이 묻어도 재활용 가능하지만 헹궈서 음식물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배출

플라스틱, 스티로폼도 햇빛에 며칠 노출시키면 빨간 국물이 없어짐!! 꿀팁☆

 

페트병은 뚜껑을 닫고 배출해도 가능

따로 버리면 선별 어려우니 수거하는 업체에 제출.

 

 

*분리수거 틀린 말, 분리배출 맞는 말 @

 

출처. 쓰레기박사

 

https://www.gseek.kr/member/rl/courseInfo/onCourseCsInfo.do?menuId=&menuStep=&pMenuId=OTOP&courseSeq=4483&courseCsSeq=1&courseCateCode=E510&eduTypeCode=0002&stuSeq=1 

 

경기도지식(GSEEK)

경기도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서비스, 외국어, 자격취득, 생활/취미, 부모교육, 청소년 등 제공

www.gseek.kr

 

반응형
반응형

 

최소한의 노력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생각해보곤 한다.

 

음료를 밖에서 테이크아웃하거나 편의점에서 살 때 할 수 있는 노력.

 

-차가운 것보다 따뜻한 것을 마신다.

플라스틱보다는 종이컵이 환경 오염을 덜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몸에도 따뜻한 음료가 더 좋고.

자연스레 빨대도 안 쓸 수 있다. (스틱은 안 받아 온다.)

 

-홀더 안받기

요즘은 음료 홀더를 셀프로 가져가는 곳도 많아서 그런 곳에서는

그냥 뜨겁거나 차갑거나 안 끼고 가져온다.

직접 천으로 만들어 쓰는 홀더도 있던데 그거나 만들어볼까?

직원이 껴 준 거는 그 앞에서 빼기 좀 머쓱해서 그냥 들고 올 때가 많다...ㅎ

 

-편의점 종이팩 음료를 마신다.

편의점 우유 파는 냉장 코너에 다양한 것들이 많다.

나는 덴마크요거트를 애용,,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료를 살 때 투명 용기에 담긴 것을 선택.

먹고 싶은 것이 확실하면 어쩔 수 없지만

투명한 페트병은 최근부터 분리배출하기 시작하고, 재활용율이 높다.

 


투명 페트병은 섬유 등 고품질 재활용 원료로 이용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플라스틱과 혼합 배출되면서 선별의 어려움과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오염된 용기로 배출되면서 재활용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 연 8.7만t의 폐페트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투명 페트병이 따로 배출되면 선별과정이 수월해지고, 주료 음료나 생수병에 이용되는 투명 페트병은 오염도도 낮아 별도 배출시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www.ihalla.com/read.php3?aid=1604800028695838079)

 

 


-가끔은 목 마른 상태를 견딘다....

곧 집에 간다거나, 식당을 간다거나 하는 상황이면 참아본다.

종이컵 하나 쓰는 것 아껴 보고자.

 

아..!

종이컵이 재활용이 되려나 생각했는데

종이류는 아니고 종이팩류로 버려야 재활용이 된다고 한다.

 

-텀블러

제일 좋은 방법이겠지만, 짐이 무거워지는 것이 싫고 평소 카페를 잘 가지도 않아서 잘 안 들게 된다.

그래도 집에 예쁜 텀블러 찾은 김에 더 자주 이용해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