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곡류 및 서류 재배]

 

-      감자 수분부족에 가장 민감한 시기 : 괴경비대기

 

-      감자 생육단계

파종~출현기

복지신장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괴경성숙기

수확기

 

<씨감자 절단>

 

-      고구마 덩이뿌리 생성 촉진 : K

 

[미생물의 농업적 활용기술]

 

-      농업미생물 :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효모균

 

고초균 :

가장 대표적인 유효 미생물, 식물의 잎과 줄기, 볏짚, 퇴비 등 분포

내생포자 형성균으로 생존률 높은, 안정적이며 증식이 매우 빠름

유기물 분해능력 우수한 부생균, 효소, 비타민, 호르몬, 항균물질 분비

 

광합성 세균 :

악취물질, CO2를 영양분으로 이용

토양 중 산소 결핍 상태 개선, 토양 중 질소를 고정하여 식물에 공급

사멸 후에도 다른 미생물의 먹이

아미노산, ATP 등 조효소 분비, 근권 유용 토착균의 정착 환경 조성

 

유산균 :

토양 속 불용성 인산을 가용화, 산소가 없고 염류가 있어도 활동

토양 중 질소를 고정하여 식물에 공급, 유해균 증식 억제하는 항생물질 생성

각종 효소, 비타민 등 대사산물 공급, 장내 정착균으로 소화기질병 예방

 

효모균:

, 빵 등 식품발효 과정에 유용, 악조건에서도 발효력,생존력 우수

식물 잔사 등 유기물 분해능력 우수, 축사 등의 악취제거 효과, 병원균 생육 억제,

아미노산, 비타민 등 성장물질 생산

 

-      미생물 사용법 및 주의사항

미생물 배양액의 250~500배 희석하여 사용

1~2주 간격으로 꾸준히 장기간 사용

햇빛이 약한 시간에 사용 (10시 이전, 17시 이후)

살포 전 포장을 적당하게 적신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 후 남은 미생물은 밀폐하여 저온 보관

농약과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농약과 미생물은 1주일 이상 간격을 두고 살포

 

[병해충 관리]

-      주요 병균의 진단

곰팡이병: 대부분 표징이 있다.

세균병: 병반 주위 띠 형성, 세균액 분출, 궤양증상

바이러스 : 모자이크 형성, 생장위축

파이토 플라즈마 : 오갈, 총생, 위축

 

-      토마토 반점위조바이러스

총채벌레가 매개

 

[채소 가꾸기]

 

-      유기물 : 볏짚, 낙엽, 퇴비

 

-      밑거름 : 소석회. 퇴비(유박/축분+톱밥). 복합비료

 

-      소석회 : Ca공급(배꼽썩음병 예방) , 흡수 오래걸림, 액비 엽면시비(잎 뒷면 기공으로)

 

[벼 재배]

-      냉수온탕침법

키다리병 방제 97%

선별된 종자-냉수침지(15~2060)-온탕침지(60 10)-침종(싹틔우기)

 

-벼의 생육상태에 따라 물깊이

생육시기 물관리 요령 물깊이(cm) 효과
이앙기 얕게 대기 2~3 모를 얕게 심게 됨
분얼성기 얕게 대기 2~3 분얼촉진
무효분얼기 중간물떼기(5~10일간) 0 무효분얼억제, 유해물질제거, 도복방지
생식생장기 물 걸러대기(3일 관수, 2일 배수) 2~4 뿌리활력 증진, 유해물질 제거
출수기 보통 깊이 3~4 꽃가루받이 촉진
등숙기 물 걸러대기(3일 관수, 2일 배수) 2~3 등숙양호, 뿌리기능 유지, 유해물질 제거
낙수기 완전낙수(출수 후 35일 전후) 0 쌀 품질 증진, 농작업 편리

 

173p~174 잡초 사진

 

 

-      키다리병

병징 : 헛자람, 위축, 분얼감소, 줄기마름, 불임(수잉기)

발병원인 :

병에 걸린 종자

출수기 배젖까지 침입: 생육종

포자가 도관 및 줄기 표면에 형성

병 발생이 심했던 포장

고온과습 : 30도 이상

 

-      비래해충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과수] 삽목.삽수/비료?

 

-      삽수채취요령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 햇볕을 많이 받은 것

어린나무에서 채취, 생장점 부분, 오전에 채취, 꽃 눈이 없는 것

 

-      삽수 만들기

마디 바로 아래 자르기

잘린 단면 모양

줄기마디 아래 2mm 정도

삽수줄기를 45도 각도로 사선방향(쐐기모양)

삽목과정 중 흙속에 들어가면서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음

 

- 삽목 시기: 온대성(5~6) 열대성(6~8)

- 삽목 방법 : 잎꽂이, 줄기꽂이, 뿌리꽂이

 

-결실 습성

1년생-감귤,포도,,무화과,

2년생-복숭아,매실,자두

3년생-사과,

 

[친환경농업] ??    

 

[실내원예]

-팔손이나무 (베란다/공부방 음이온방출, 기억력 향상)

 

-토종식물

마삭줄, 남천, 백량금, 부처손, 산호수

 

[식물공장&아쿠아포닉스]

-고형배지경: 점적관수

-담액식: 뿌리가 액체배지, 즉 배양액 속에 담겨 있으며 지상부는 베드 위에서 가꾸는 방법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방식

근권의 온도변화가 적고, 산소 공급 필요, 물 절약 가능

 

-박막식: 파이프 내에 배양액을 조금씩 흘려보내 재배

뿌리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뿌리 사이를 흐르는 양액이 필름처럼 얇은 막을 형성해야한다

배양액이 계속 순환하기 위해서 베드와 양액탱크, 급배액장치로 이루어진다.

베드는 1/60에서 1/80 경사도를 가지게 설치

비용이 높고, 식물이 잘 안 죽음, 산소가 공급됨?, 물이 적게 든다, 냉각기 필요

 

-분무식: 뿌리가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배양액을 뿌리로 분사하여 재배

산소 부족이 일어나지 않음, 생육이 빠르고, 밀식재배 가능, 시설비 높음, 병균 확산이 빠름

 

-아쿠아포닉스

친환경 바이오플락 양식법

: 바이오플락-식물 플랑크톤, 배설물, 사료 찌꺼기, 세균성 미생물 등이 결합된 작은 유기물 덩어리

양식 수조의 오염물 분해 능력이 뛰어나고

양식에 유익한 미생물을 함께 키우는 양식 기술

미생물과 작은 미소생물들이 솜뭉치처럼 뭉쳐져 있는 형태로 물속을 떠다니며 독성 있는 암모니아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세균단백질로 동화(수질정화)

양식생물의 먹이원으로 이용, 사료비용 절약, 사육수를 교환하지 않고 양식 가능

항생제가 쓰이지 않음

 

순환여과식 양식법 RAS

: 양식에 사용한 물을 외부로 유출을 최소화하여 일정한 정수과정을 거쳐서 어류에게 적합한 수질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물을 순환시켜 재사용

물리적.생물학적 여과장치

친환경적, 자연환경적 영향을 최소화 가능

고도의 정밀 장치로 구성, 초기 시설투자비 및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

 

반응형

'요즘 일상 > 요즘 하는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교육포털 작물생리  (0) 2022.12.21
농업포털 교육  (0) 2022.12.14
치유농업  (0) 2022.08.09
7월 5주 농업기사 정리  (0) 2022.07.25
유리 재활용 방법!! + 종이팩, 플라스틱 배달용기  (0) 2022.05.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