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속가능 컨설팅

 

1. 영상 만들기

-시장을 창출

-위탁 가공장

 

2. 어떤 프레임

-작목 선택 전 방향 설정

규모/공간/체험

 

<메디치 효과>

풀/상품성 down

 

 

 

 

표고버섯
1년에 3번 생산
단기 소득작물 중 고소득 작물

표고버섯 재배 원목은 지름 6~14cm, 길이 100~120cm 크기가 적당하며 10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벌채된 것이 좋다. 

벌채 후에는 햇빛이 들지 않는 음지에서 가지와 잎을 붙여 최소 1개월에서 4개월까지 건조해 줘야 한다. 

원목의 함수율이 40% 정도가 되어야 종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양양, 장흥, 부여, 청양



처음에는 300평 정도만 토지를 구매하라
? 체험농장을 하고 싶으면 붙어 있어야 하지 않나?

농지원부 꼭 만들라


영농일지 작성
자금운용계획

창업자금지원은 귀농 후 3~5년이 적당
-영농기술을 습득한 뒤에

시설하우스 10동 2,000원 공짜로 얻은 것이나 같음
실제는 
한동(200평 기준) 1,500~2,000만 원

지나친 투자는 오히려 더 큰 소실을 가져올 수 있다

농업기술센터를 찾아가 빈집과 농지를 확보할 수 있는 곳을 물색했다.
청양 지역 특산물인 고추와 구기자 재배

빈집+800평 밭 월 10만 월
기타 투자비 1,000만 원


(여성)
아스파라거스는 한번 심으면 10년에서 15년 정도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홀로 초보 귀농인에게 적합한 작목이었다. 

다만 수익구조 없이 체류형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민생고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수익이 생기지 않는 귀농 초보자들을 위해 지역에서는 품앗이나 로컬푸드 판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주선하기도 한다.

 젊은 사람들로 구성된 4-H회 모임


“귀농하기 전 철저한 준비가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귀농할 때, 귀농할 곳 지방자치단체나 농업기술센터 등을 방문해 많이 알아본 뒤 귀농을 해야 합니다.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그곳 시·군청 귀농·귀촌과에 공식 등록돼 일하는 건축업 대표를 연결받은 뒤 하게 되면 사기를 당하지 않습니다. 공사계약서에 완공일 같은 정보를 꼼꼼히 적어놓는 것도 중요합니다.”

 

 


>창업계획서

-사업 계획

-사업비 투자계획
-세부사업 추진계획
-자금조달계획
-향후 사업(신청사업분야)계획

-융자금 상환 계획

-지역 활동 참여 계획
다문화 가정을 돕는 문화 공간

-제출서류
사업자등록
교육이수실적
견적서/계획서 등

-심사기준
교육,거주기간
정착의욕
상환계획 적절성
청년귀농 장기교육 수료
국가기술자격


>사례

-구절초 피는 마을 하립골
수제 꽃차

초반에는 핵심작물과 핵심사업모델에 집중

주요 시설 배치에 신중

-하하수미 농촌 교육 농장
경북 성주

지역특산물을 통한 연계 사업 활용
참외 피클

반응형

'요즘 일상 > 요즘 하는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보호기사 기출 20220305  (0) 2023.02.06
농업교육포털 작물생리  (0) 2022.12.21
도시농업전문가 시험 준비  (0) 2022.10.28
치유농업  (0) 2022.08.09
7월 5주 농업기사 정리  (0) 2022.07.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