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대를 생각하면서도 계속 매매할만한 땅도 알아보고 있었는데
임대 고려한 농지는 방치된 지가 좀 되어서 좀 막막했다~
내가 가꾸고 투자를 해도 어차피 내 것이 아니니 마음이 동하지 않는달까...
 
 


그러고 나서
한 농지를 직접 가보니 마음이 단번에 혹했다.
이 땅을 사면 골치 아픈 것 몇 가지가 해결될 것 같은 느낌
 
1. 전기
2. 수도(지하수)
3. 창고 겸 쉼터
가 이미 갖추어져 있었다.
 


370평 정도로 그리 크진 않았지만, 잘 정리된 밭을 보니 초기 노력이 크게 들 것 같지 않았다.
부동산중개사도 매도인도 적당히 친절하고 나에게 편견을 갖지 않아서 좋았다.
 
단점은
1. 농림지역
2. 주변 분들과 길을 내어서 국도 인접은 아니다.
3. 주변 농지와 붙어 있다.
4. 농림지역 치고는 비싼 편이다.
 
는 것도 좀 걸리는 사항이었다.
 
4번 때문에 대출이 잘 나올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계약을 대출이 나오지 않으면 계약 해제 조건을 걸고 진행했다.
 
지금까지 밟은 순서는 
1. 부동산 계약
2. 농업기술센터에서 대출신청서류 작성(2~3일 뒤 다음 단계 진행)
3. (미리미리) 농지취득자격증명서류 발급 신청
 
 
이제 하루 이틀 기다린 후에 농협에 전화해서 공문이 도착했냐고 물어본 후에 방문하면 될 것 같다.
 
아직도 걱정도 많고, 설렘도 있고 그렇다.
잘 될거라고 믿고 
계약할 때까지~
- 생활비 아끼며 목돈 건들이지 않기
- 필요한 절차들 바로바로 처리하기

 

 

앞으로 준비해야 할 서류

(출처-청년후계농 카페)

반응형
반응형

 

 

며칠 만에 제목은 농지 '매매'에서 '마련'으로 바뀌었다.

 

농지를 구해보다 찾다가 찾다가 아는 분께 고민을 이야기했더니 다른 가족 분 농장을 소개시켜주셨다.

임대로, 선정된 지역과 다른 지역이다.

빚이 없다는 건 좋은 시작이지만, 뭔가 씁쓸하다.

내 마음대로 가꿔나갈 수 있는 땅을 갖고 싶었는데...

 

일단 오늘은 9시 땡 치자마자(그래도 매너 상 5분 정도 기다렸다가..)

정부 관계기관에 전화해서 이것저것 물어봤다.

 

1. 농업기술센터

- 인접 시군구인데 임대 가능한가?

내가 속한 지역에 기반이 있어야 하고 추가로는 가능하지만,

다른 시군구가 기반(처음) 농지가 될 수는 없다.

 

-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서 청년후계농을 할 수 있는가?

이사를 간 후에 신청하면 된다.

이사를 갔는데 거절당할 일은 없을 것이다.

라는 답변을 들었다.

 

2. 농산물품질관리원

(농업기술센터에서 농관원이라 해서 처음에 못 알아들었다;;)

 

- 농업경영체 등록은 전국 공통 하우스 330m2면 가능한 것인가?

그렇다.

 

- 주소지는 상관이 없는가?

그렇다.

 

https://www.naqs.go.kr/main/main.do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www.naqs.go.kr

 

3. 농지은행

- 개인 간 임대 거래가 가능한가?

농지은행에 수탁해서 하는 것이 아니면 해당 동사무소에 문의해라.

 

이건 일단 온라인으로 더 알아본 결과

1996.1.1 이전 토지면 안전,

토지주가 영농 8년 이상 등의 조건이 있는데

 

땅주인과 연락해서 자세히 물어봐야겠다.

 

이제 땅주인과 임대 방식에 대해 얘기해봐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선정 전부터 걱정이었지만, 선정이 되고 나니 2024년 이라는 기한이 생겨서 더 촉박해진 느낌이다.

토지를 구매하려 하니 여러가지 막히는 것이 많다.

너무 마음에 드는 땅인데 2.6억, 근데 계약금 10%가 없다...

물론, 여기저기 돈 끌어와 무리해서 진행할 수 있겠지만 마음 쫄리는 그런 경험 하고 싶지 않다...

 

그럼 다음,

2억 이하로 구해보자

로 방향 전환

 

열심히 서칭을 하는 곳은

부동산, 땅야, 공매(온비드), 네이버 카페, 심지어 당근마켓 등등

 

그리고,

생각해보니 꼭 300평 이상으로 구할 필요가 없겠다.

하우스를 지을 거니까,

 

 

농업경영체 등록을 목표로 한다면

100평 하우스로도 가능하니까!

 

나는 작으면 작은대로, 분할되면 분할된대로 잘 해낼 수 있따!!!

 

 

 

땅이라는 물건을 사 본 적이 없으니

막상 땅주인과 연락이 닿아도 무엇을 물어보아야 할지도 몰랐다.

 

일단 체크할 것,

1. 관수시설

2. 전기

3. 일조량

 

서류상으로 확인 할 것,

1. 맹지가 아닐 것(절대 불가, 대출이 안 됨)

2. 카페까지 생각한다면 계획관리지역이 안전(시세를 따라 타협해야 할 수도)

 

또 이것저것,

1. 토지 구매시기(전주인의)에 따라 직거래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2. 취등록세, 법무사비 등의 비용도 고려해서 준비해야 한다. 5% 정도?

 

취등록세는 2개월의 기한이 있으니 계약금 빼서 넣는다고 생각해도 되겠다.

 

부족한 살림으로 열심히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시간이 반이니,

이 힘듦에 너무 압도 당하지 않기!

 

시간을 너무 거창하게 하려고 하지 않기,

매일 매일 쌓여가는 것이 있다. 힘을 내자!!

 

그래서, 결론은

200~400평 2억 이하 토지를 찾아보자.

반응형
반응형

https://youtube.com/@ucdmaster?si=CmQLj6tWIBaJPRC4

Binance

발달장애와 교육공학, 장애인권, 부모역량강화에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를 연구, 개발하고 강의합니다. (주)쌤스토리 대표이사 / 나사렛대학교 재활자립학부 겸임교수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300평이라는 농지가 어떤 넓이인지 감도 안 와서 네이버 지도 활용,,

내가 익숙한 장소를 서칭해봤다.

 

 

 

체감상 하우스가 노지보다 넓게 느껴진다. 같은 평수라도

4,433m2=1340평

341 = 103평

 

결론은 

300평은 꽤 크고,

하우스 100평 한 동도 크다.

 

350~400평 토지 구해서

100평 하우스 두 동에 노지 100평이면 딱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마법의 막대기
할아버지
민들레는 민들레꽃

반응형
반응형

 

1. 신발 신발 아가씨

2. 밀리의 판타스틱 모자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새 옷도 안 사고, 새 물건 자체를 안 사려고 한다.

당근마켓이나 번개장터부터 살펴보고, 오프라인에서는 굿윌스토어나 아름다운가게에 가면 저렴한 가격에 좋은 물건들을 구할 수 있다.

 

옷 한 벌이 10,000원 이하인 것도 있으니 더 흥분해서 골라보기도 했다..^^

서울에서만 가다가 일산점을 오니 매장도 크고 물건도 다양했다.

 

 

주차 공간도 널찍해서 좋았다~

 

 

먹을 것들이 많아서 인상적이었다.

쌀, 잡곡, 냉동식품, 과자, 음료까지.. 식료품 쇼핑을 해도 괜찮을 것 같다.

 

이렇게 업체에서 주는 새 옷도 많다. 거의 30% 가격으로 브랜드 옷을 살 수 있다.

 

 

구두는 3,000원인데 사이즈만 잘 맞아야 한다.

주로 작은 사이즈가 많다.

225나 230,

잘 팔리는 235,240은 잘 없어 보였다.

 

 

 

 

소비를 할 때면 왠지 모를 환경에 대한 죄책감이 드는데

굿윌스토어를 이용하는데 죄책감이 들지 않는 이유...!

 

장애인 직원분들이 계산해주시는데 정말 친절하셔서 기분이 좋아진다!

반응형

+ Recent posts